심리재난상황에서 마음건강 유지를 위한 대처요령 | |||
---|---|---|---|
작성일 | 2022-11-03 | 조회수 | 446회 |
본문
10월 29일 밤, 이태원에서 수만명의 인파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대규모 압사 참사가 일어났습니다.
참사의 직접적인 피해자와 목격자, 그 가족과 지인들, 그리고 황망한 마음으로 뉴스를 지켜 본 국민들까지, 우리 모두 비극적인 참사에 영향 받고 있습니다.
인간은 예측하지 못한 참사를 마주할 때 나름의 방식대로 설명하고 이해하려 애씁니다. 그래야만 상황을 통제한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에서 확인되지 않은 추측과 유언비어가 SNS를 통해 확산되며 생존자 및 유가족에게 회복되기 어려운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심리재난상황에서 우리의 마음건강을 위한 대처요령을 말씀드립니다.
1. 참사 이외에 다른 생각을 하기 어려울 정도로 영향을 받고 있다면 당분가 참사 관련 뉴스나 기사를 멀리하세요.
-> 트라우마 증상이 심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당분간 참사 관련 자극을 접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피해자를 비난하거나 탓하는 기사, 자극적인 사진이나 영상, SNS 게시물을 클릭하거나 공유하지 않습니다.
-> 참사 직후 지나치게 선정적인 보도뿐만 아니라 SNS에 무분별하게 현장 사진이나 영상이 올라오기도 하고, 희생자들을 비난하거나 모욕하는 글들도 나타났습니다.
생존자와 유가족, 나아가 우리 모두에게 트라우마가 될 수 있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3. 참사보도를 접하며 과거의 트라우마가 지속적으로 떠오르거나 일상생활이 어렵다고 느껴질 경우 전문가를 찾아주세요.
-> 대규모 재난이나 참사가 발생하면 많은 사람들이 이전의 트라우마가 되살아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지체하지 않고 전문가를 찾아주세요. 상담심리사들이 위기지원을 함께 합니다.
출처 : (사)한국상담심리학회